연구목표 |
본 1세부과제의 최종목표는 장관 오가노이드(gut organoid) 기반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플랫폼 개발 및 실용화 기반을 구축하고, 동시에 다장기 오가노이드(multi-organoids) 시스템 도입을 통한 인체 장관-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발굴을 위한 인체모사 장관 오가노이드 기반 고효율 질환 제어 마이... |
연구내용 |
2단계 (2021-2023): 인체모사 장관 오가노이드 기반 마이크로바이옴-숙주 상호시스템 및 마이크로바이옴 평가 기술 개발유용 마이크로바이옴 탐색/활용 기술 개발 - 인체 장내미생물 라이브러리 구축 및 대량 배양 기술 개발 - 장관 오가노이드 내 혐기성 미생물 생착기술 확립 - 장질환 오가노이드 기반 장 분화/성숙 유효성분 검증 인간 장관 오가노... |
기대효과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분야의 활용·심화 및 가치 창출을 위한 방법론적 대안 제시마이크로바이옴-장관 오가노이드-질환모델 복합 공배양 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고인간 오가노이드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평가 플랫폼 기술 확보를 통한 인체유래 실물·파생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자원 활용 및 신사업 창출 개인 특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마이... |
키워드 |
마이크로바이옴,인간 장관 오가노이드,장내미생물-숙주 상호작용,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인체모사,장내미생물,장-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