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과제는 공간적 비국소성을 띠는 초박형 나노 광소재를 개발하여, 기존 광학 소재의 한계를 뛰어넘는 “보는 방향에 따라 광학적 물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고효율 초박형 광소재”를 구현하고 이론, 설계, 공정, 특성 평가에서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AR, VR 등 ICT 기술의 대중화로 인해 광학 소자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 |
| 연구내용 |
[이론 모델을 통한 공간적 비국소성 광소재의 궁극적 성능한계 규명]: 입사 각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공간적 비국소성 광소재의 특성을 유효 물리량과의 상관관계를 기술하는 이론적 모델을 정립하고, 초박형 광소재에서 얻을 수 있는 투과도 및 반사도, 투과 및 반사 위상차의 궁극적 성능한계를 규명. - 기존 3개에서 12개로 크게 확장된 소재의 특성을 나타내는... |
| 기대효과 |
(1) 학문적 중요성과 기대효과- 이론적 모델 정립: 임의의 입사각에 따른 공간적 비국소성과 광특성 사이의 상관관계 및 한계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이후 개발될 초박형 광소재의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는 표준 이론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초박형 광소재 설계: 비국소성 초박형 광소재는 기존 광소재보다 높은 12개의 자유도로 광학 물성을 기술할 수 있어 기존 광소... |
| 키워드 |
비국소성,초박형 광소재,각도에 따른 물성 제어,높은 효율,위상 겹침 렌즈,광원 분리형 태양전지,10 nm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