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에 의한 베타세포 역분화의 제어 연구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에 의한 베타세포 역분화의 제어 연구 |
과제고유번호 |
1711131522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5-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1. 본 연구과제는 베타세포 역분화(β cell dedifferentiation)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역할의 규명 및 역분화 조절자의 발굴을 최종 목표로 함. 이를 바탕으로 베타세포 표적 당뇨병 치료제 개발의 기반 지식을 제공하고자 함.2. 세부 연구 목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으로 유발된 베타세포 역분화 현상의 기전 규명- 새로운 베타세포 역... |
연구내용 |
1. 베타세포 특이적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 모델에서 역분화 현상 규명- 베타세포 특이적 Crif1 knock-out (KO) 마우스를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 동물 모델 확립 및 분석- Lineage tracing 전략을 통한 역분화 세포의 규명2. 생물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역분화 조절자 규명- 단일세포 시퀀싱을 활용한 베타세포 역분화 기전 규명 및... |
기대효과 |
베타세포는 체내 포도당 조절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당뇨병 발병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그러나 현존하는 당뇨병 치료법 중 베타세포부전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은 없음. 베타세포부전의 주요 기전 중 하나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베타세포 역분화 기전의 규명은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음. |
키워드 |
베타세포,베타세포 역분화,미토콘드리아,당뇨병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임상의학 > 내분비학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의약보건학 |
사업비
국비 |
95,4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에 의한 베타세포 역분화의 제어 연구 |
과제고유번호 |
1711131522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5-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1. 본 연구과제는 베타세포 역분화(β cell dedifferentiation)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역할의 규명 및 역분화 조절자의 발굴을 최종 목표로 함. 이를 바탕으로 베타세포 표적 당뇨병 치료제 개발의 기반 지식을 제공하고자 함.2. 세부 연구 목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으로 유발된 베타세포 역분화 현상의 기전 규명- 새로운 베타세포 역... |
연구내용 |
1. 베타세포 특이적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 모델에서 역분화 현상 규명- 베타세포 특이적 Crif1 knock-out (KO) 마우스를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 동물 모델 확립 및 분석- Lineage tracing 전략을 통한 역분화 세포의 규명2. 생물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역분화 조절자 규명- 단일세포 시퀀싱을 활용한 베타세포 역분화 기전 규명 및... |
기대효과 |
베타세포는 체내 포도당 조절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당뇨병 발병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그러나 현존하는 당뇨병 치료법 중 베타세포부전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은 없음. 베타세포부전의 주요 기전 중 하나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베타세포 역분화 기전의 규명은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음. |
키워드 |
베타세포,베타세포 역분화,미토콘드리아,당뇨병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임상의학 > 내분비학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의약보건학 |
사업비
국비 |
95,4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