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이동조절에 중요한 막단백질인 Miro (mitochondrial Rho)를 분자 타겟으로 선정하여, ① 소포체 및 퍼록시좀과의 막접촉점 (Mitochobndria-associated membrane, MAM) 형성기전, ② 세포분열에 동기화된 미토콘드리아 분획 조절 기전 및 ③ 퇴행성질환 및 대사질환에서 나타나는 MAM 표현형 및... |
| 연구내용 |
1. 미토콘드리아 이동조절 단백질에 의한 MAM 동태 분석-Genome wide kinase RNAi 스크리닝을 통한 Miro 단백질 활성 조절 유전자 발굴-Proximity ligation assay 및 면역침강법 기반 미토콘드리아-소포체 상호작용 분석-Proximity ligation assay 및 면역침강법 기반 미토콘드리아-퍼록시좀 상로작용 분석2... |
| 기대효과 |
○ 기술적 측면 본 연구과제의 성공적 수행으로 미토콘드리아 및 기타세포소기관 기능의 회복을 통해 퇴행성뇌질환, 대사질환 및 염증성 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소기관 기반 신약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및 기타세포소기관 조절인자 구조를 대상으로 하는 가상 약물설계 및 미토콘드리아 및 기타세포소기관 활성 조절 효능검증 플랫폼의 구축은 향후 AI... |
| 키워드 |
세포소기관,미토콘드리아 막접촉점,미토콘드리아 Rho,동물모델,선도물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