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만기형 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나선구각구조는 만기형 별이 쌍성을 이루고 있음을 증명하는 중요한 단서이자 그 쌍성계의 궤도운동요소를 추정할 거의 유일한 도구이다. 또한 이 나선구각구조는 만기형 별이 방출한 물질의 역사를 그대로 기록하고 있어서 나선팔을 따라 물질분포 밀도를 살펴보면 만기형 별의 물질방출율의 변화 등 지금까지 잘 알지 못했던 물리량을 추정할 ... | 
                            
                            
                                | 연구내용 | 
                                현 시점을 만기형 별의 쌍성과 관련된 패러다임에 큰 변화를 겪고 있는 시기라 할 만하다. 쌍성궤도운동에 따른 나선구각구조 이론연구의 완성 및 늙은 별의 진화단계별 고화질, 고해상도 관측에의 적용, 그리고 통계적인 분석까지 겸한 통합연구를 함으로써 실제 관측된 외곽부의 패턴을 이용하여 중심부의 (주로 직접 관측되지 않는) 쌍성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는 기반을... | 
                            
                            
                                | 기대효과 | 
                                만기형 별 물질 방출이 구형에 가까운 형태를 띈 이후 쌍극 혹은 다극 형태로 변화하는 이유로 쌍성의 역할을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 어떤 쌍성이 어떠한 기작으로 그러한 형태 변화를 일으키는지에 대한 일관된 설명은 현재 부족하다. 이번 과제를 통해 이에 관한 힌트를 찾기를 희망한다. 이는 또한 쌍성의 마지막 단계에 관한 진화모형 연구와도 관련성... | 
                            
                            
                                | 키워드 | 
                                늙은별-적색거성과 행성상성운, 유체역학 이론연구, 전파간섭계 관측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