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4
2024-05-22
내역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
과제명 | 살아있는 식물내 유해물질 비파괴적 실시간 검출용 스마트 식물 웨어러블 센서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309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4-02-29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대기 중 미세먼지, 유해물질 등 환경 위해로부터 농업 생태계 보전 및 식물(농작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물에 잔류하는 환경유해물질을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분석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고가 분석 장비 이용시 식물 시료의 분해 전처리과정이 필수적이므로 분석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또한 살아있는 식물 내 유해물질에 대한 실시간 정량적 모니터링에 한계가 있어 ... | ||
---|---|---|---|
연구내용 | 1. 유해물질 감지용 식물적합성 고다공성 다기능성 하이드로젤 전극 기술 개발- 유해물질(반응성 질소 산화물(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 감지용 3차원 고다공성 다기능성 하이드로젤 제조 기술 개발- 3차원 다기능성 하이드로젤 바이오 잉크 제조 기술 개발 - 식물적합성 다기능성 하이드로젤 전극의 센싱 성능 평가2. 살아있는 식물에 비파괴적으로 형... | ||
기대효과 | ◦ 기술적 중요성 ‣ 식물(농작물)내 유해물질 실시간 모니터링 분석 및 센싱법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있지만, 나노기 술과 식물을 융합하여 살아있는 식물 잎에 나노 전극을 직접 형성하고 식물-전극간 인터페이싱 기술을 향상시켜 고감도 스마트 식물 웨어러블 센서 개발을 성공함으로써 식물 내 유해물질 실시 간 모니터링에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 | ||
키워드 | 스마트 식물 웨어러블 센서,다기능성 하이드로젤,하이드로젤 바이오 잉크,살아있는 식물 센서,식물적합성 하이드로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환경 > 측정분석장비/장치 > 고정밀 센서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화학연구원부설안전성평가연구소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화학연구원부설안전성평가연구소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203,096,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