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는 3개년도 연구로 최종 연구목표는 첫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조현병)의 약물이행(medication adherence)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barriers)과 예측요인(predictors)을 규명하고, 둘째, 정신약물이행의 장애요인에 관한 도구를 개발하고, 셋째, 약물이행도 향상을 위한 투약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것... |
| 연구내용 |
◦연차별 목표, 내용, 연구범위 및 평가착안점 (1) 1차년도(2019) 목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약물이행 장애요인과 예측요인 탐색 (1)-① 장애요인 ‣ 내용: 문헌고찰, 현장실무가, 정신장애인 및 가족의 포커스그룹 및 개별 심층면담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 ‣ 범위(대상): 현장실무가 4인, 정신장애인 6인, 가족 4인 ‣ 평가착... |
| 기대효과 |
◦실무적 측면 ‣ 개발된 정신약물이행의 장애요인에 관한 측정도구는 현장실무가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물이행에 문제가 되는 다양한 요인을 예측하여 조기에 대처 가능 ‣ 지역사회 만성 정신장애인의 약물이행도 향상을 위한 지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약물이행 관련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맞춤형 중재의 기초자료 제공 ‣... |
| 키워드 |
지역사회,정신장애인,조현병,약물이행,프로그램 개발,프로그램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