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66
2024-05-22
내역사업 | Korea Bio Grand Challenge |
---|
과제명 | 인공유전체 기반 미생물 컨소시엄 제어 합성생물학 기술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3584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8-04-01 ~ 2026-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연구목표 | 유전체 설계 및 모듈형 어셈블리를 적용한 인공유전체 합성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장내 미생물 컨소시엄의 지능형 제어를 통한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치료에 적용함장내 우점 유익균인 박테로이데츠(Bacteroidetes)를 이용하여 장내 미생물 컨소시엄을 제어할 수 있는 인공유전체를 제작하고, 이를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스마트 미생물로 개발... | ||
---|---|---|---|
연구내용 | 1단계(2018-2020): 기계학습 기반 인공유전체 설계기술 개발대표 장내세균 Bacteroidetes의 유전체 분석 및 지능형 유전자회로 개발(2018)Bacteroidetes 유전체의 구조적 연관성 및 다중 오믹스 통합 분석크리스퍼 유전가가위 기반 게놈 스케일 필수유전자 분석 및 게놈 조작 기술염증 지표물질 발굴 및 감지 유전자회로 개발Bacteroi... | ||
기대효과 | 합성생물학의 핵심인 인공유전체 설계와 합성 기반기술 국제경쟁력 확보기능 강화형 유전자회로 설계기술과 최적 회로 구동기술의 산업 미생물 적용기존 바이오기술의 한계를 혁신적으로 극복하고 미생물 컨소시엄 제어 적용을 통해 인류의 건강과 복지에 기여 | ||
키워드 | 합성생물학,유전체 합성,유전자회로,실험진화,미생물 컨소시엄,염증,진단,치료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융합바이오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융합바이오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농림수산학 |
국비 | 75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