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국내에서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은 두 번째로 높은 발병률(2017년 기준)을 보이며, 세 번째 사망률(2019년 기준)을 기록할 만큼 진단이 늦고 예후가 좋지 않아 폐암, 간암 췌장암 등 다른 암에 비해 5년 생존율이 낮음. - 최근 우리나라의 대장암 발병률은 10만 명당 44.5명으로 세계 2위이며, ... |
| 연구내용 |
- 대장암 초기 발생부터 전이성(carcinoma)을 갖는 과정까지 다양한 유전적 변이들이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모델이 정립되어 있음. 대장암이 발생하기 위해선 Wnt 신호전달의 조절자로 알려진 종양 억제유전자 (tumor suppressor gene)인 APC 변이 선행이 필수적이며, p53과 KRAS 유전자의 변이가 순차적으로 동반되어... |
| 기대효과 |
1. 과학적/기술적 측면- TOX 유전자 관련 거의 모든 연구는 면역세포 분화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다른 조직/장기에서의 기능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임.- TOX의 발현은 조직마다 그리고 암 종류마다 상당히 다르지만, TOX 발현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인자 및 분자 기전에 대해 알려진 바 없음.▶ 분자‧세포‧동물‧중개의학의 다각적 그리고 통합적 연구를 통... |
| 키워드 |
대장암,윈트 신호전달,APC 돌연변이,톡스,종양억제유전자,베타카테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