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현실 환경 내 공간 및 객체 등의 정적 요소들을 추정하여 복원하고, 이들의 의미론적 관계를 기반으로 움직이는 객체 및 카메라 등의 동적 요소들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동적 디지털 트윈' 구축 방법을 개발함. 또한, 이를 매개로 현장의 사용자와 원격의 사용자가 각각 사실적 렌더링 기반의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통해 직/간접적 동일한 환경... |
| 연구내용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XR 연동 동적 디지털 트윈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1. 디지털 트윈 구축(1) 평면도 정보 및 객체 정보 기반 실내 공간 정보 추정- 3차원 실내 공간 복원 결과와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평면 형태의 실내 공간 구조를 추정- 추정된 평면 정보를 이용하여 바닥, 천장, 벽 사이의 관계를 유추하여 3차원 ... |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동적 디지털 트윈은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을 넘어 실제 환경 기반의 원격 협업이 필요한 현장에 응용될 수 있음. 구체적인 예로, 장비 유지 보수 및 설계를 위해 작업자와 원격의 전문가가 XR을 통해 협업하는 산업 현장, 실제 강의실에 있는 교육자와 원격의 학생들이 XR 환경에서 양방향으로 실험 도구를 조작할 수 있는 상호작용형 교육 현장... |
| 키워드 |
디지털 트윈,증강현실,원격 협업,실감 렌더링,실내 공간 복원,조명 추정,3차원 객체 자세 추정,카메라 자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