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4
2024-05-22
내역사업 | 이공학분야(S/ERC) |
---|
과제명 |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 연구센터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393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8-06-01 ~ 2025-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 분자 수준 ? 나노미터 수준 ? 거시적 수준을 포괄하는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의 구현 및 응용에 대한 통합적 집단연구- 계층적 자기조립 과정에서 카이랄성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의 디자인 원리 확립- 분자 카이랄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외부자극을 이용해 멀티스케일 카이랄성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 다양한 빌딩 블록으로... | ||
---|---|---|---|
연구내용 | ? 멀티스케일 카이랄성의 발현 및 상호전이원리 연구- 펩타이드 폴대머의 자기조립체를 모델 시스템으로 하여 이의 자기조립 메커니즘을 실험 및 계산화학의 협동연구를 통해 규명하고, 역설계를 통해 디자인 원리 제시- 펩타이드 폴대머를 주형으로 활용, 폴대머에 유기금속 단위체를 도입하여 멀티스케일 카이랄 유?무기 혼성구조체를 합성하고 폴대머 표면을 개질해 카이랄성... | ||
기대효과 | ? 차세대 지식 성취 및 신소재 창출-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의 새로운 특성 규명 및 다른 분자 또는 외부 에너지와 일으키는 비대칭적 상호작용을 통해 카이랄성이 전이 및 증폭되는 과정 이해- 차세대 비대칭 반응/카이로제네시스(chirogenesis)/중합 촉매 및 비선형광학, SERS 등에 응용할 수 있는 광학재료 등의 개발에 응용 ? 새로운 학문 분야 ... | ||
키워드 | 카이랄성,멀티스케일,계층적 자기조립,카이랄성 전달,폴덱쳐,유 무기 혼성체,촉매,광학재료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화학 > 유기화학 > 유기초분자화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56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