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71
2024-05-22
내역사업 | 원자력 융합기술 특성화 |
---|
과제명 | 후행핵연료주기 융합ㆍ혁신 인재양성 프로그램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4236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4-15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4-15 ~ 2021-12-31 |
연구목표 | ○ 후행핵연료주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 융합교육 플랫폼 및 전공/세대/분야를 아우르는 연구 교류 허브 구축 - 공학/자연과학/인문사회 융합 교육훈련 플랫폼ㆍ인프라 구축 - 이론검증ㆍ실험실습ㆍ사례연구 연계형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 국내외 학ㆍ연ㆍ산 유관기관 연구 교류 허브 구축 - 융복합 기술 연구지원 등 고부가가치 창출 | ||
---|---|---|---|
연구내용 | ○ 후행핵연료주기 융합형 교육훈련 플랫폼ㆍ인프라 구축 (1) 후행핵주기 융복합 교육훈련 플랫폼 구축 - 첨단교육시설 구축 및 교내외 전문위원 구성 - 물리화학분석/전산모사/모델링 융합 거점연구실 구축 (2) 이론/실험/사례연구 연계형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원자력/타전공 융합 커리큘럼 구성* Track1. 원전 제염해체 고도화* ... | ||
기대효과 | ○ 후행핵연료주기 분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 특성화 전문인력 양성○ 융복합 기술을 활용한 창업, 사업화, 기술수출 등 고부가가치 창출○ 다양한 기관과의 공동 인력양성을 통해 인재 유입 및 지역 인프라 활성화 기여○ 대학교육 개선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인큐베이터 역할 수행 | ||
키워드 | 후행핵연료주기,융합교육훈련,제염해체,사용후핵연료,실험실습,연구교류 활성화,방사성물질,기술사업화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원자력 > 핵연료주기/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 > 사용후핵연료 관리기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교육 및 인력양성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225,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