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o 가상증강 환경에서 사용자의 환경과 행동을 정밀하게 해석하고 그 정보를 공유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센서와 환경에 제약없이 동일한 인터랙션 품질을 제공하는 인터랙션 기술 개발o End Product - 다중·이형센서기반 상황적응형 인터랙션 프레임워크 (Framework) - 다인칭 실시간 복합공간 실·가상 위치 추정 및 상황인지 SW - 다인칭... |
연구내용 |
[주요 결과물]o 다중·이형 센서기반 상황적응형 인터랙션 구조화 기술 - 이형카메라 센서 데이터 정의 및 설계서 - 상황적응형 인터랙션 프레임워크 설계서 - 이형카메라 센서 캘리브레이션 모듈 SWo 이형카메라 센서 분석 기반 환경/공간의 인터랙션 물리속성 추출 기술 - 복합공간구조 데이터 설계서o 다인칭 사용자 3차원 정밀 동작 분석 기술 - 사용... |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 국내 산·학·연과 정부 연계의 원천기술 개발로 국내 기업들도 주도적으로 XR/AR/VR 시장 개척이 가능한 다인칭 인터랙션 응용 기술 확산 - 다수 사용자 참여 AR 공간 확장 기술, 이질감을 줄이고 몰입감을 높인 모바일 기반 실시간 현실 공간 인식 기술, 다인칭 인터랙션 기술 등 고급 AR 원천 기술 확보 - 고차원의 협업형 인터랙션... |
키워드 |
개인화 인터랙션 모델링,다인칭 복합공간,다중이형센서,상황적응형 인터랙션,인터랙션 프레임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