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인체는 내분비계에서 분비하는 호르몬에 의해 다양한 기능이 조절됨내분비계 교란물질은 내분비계를 표적으로 하여 호르몬 합성 및 분비 저해, 호르몬 수송 저해,호르몬 수용체 발현 저해 및 경쟁 반응 등으로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기존의 연구는 음식물 섭취에 의한 체내 영향을 연구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음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대기 중 미세먼지는 다양한 ... |
| 연구내용 |
내분비계 교란물질은 농업, 산업 및 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음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대체 물질 사용 또는 사용을 규제하고 있어사용량이 줄고 있으나 여전히 사회적 문제로 남아있으며, 기존 사용된 물질 또는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물질이 환경내 유출되어 만성적인 노출을 유발함기존의 음식, 식수 또는 생활 밀접 물품에 의해 노출되던 경로에서 호... |
| 기대효과 |
미국, 중국 등에서 대기 중 내분비계 교란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반면,국내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임내분비계 교란 물질은 영유아, 초등학생 등 발달과정의 연령대가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며,환경부의 국민환경 기초조사에서 저연련층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된바 있음사용 규제에도 기존 사용된 물질로부터 용출, 대기 중 확산으로 만성 노출이 우... |
| 키워드 |
내분비계 교란물질,환경호르몬,흡입독성,대사물질,프탈레이트,비스페놀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