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New Space”의 도래와 함께 중/소형 인공위성의 개발 수요가 점증하는 가운데, 위성 개발 시의 주요 문제 중의 하나인 소비 전력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위성체의 온도 유지에 사용되는 히터(heater)의 요구 전력 최소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위성체에서 우주(Deep Space)로의 복사열 손실 최소화가 요구되며, 이에 우주용 다층박막단열재(Spa... |
| 연구내용 |
우주용 다층박막단열재의 유효 방사율을 설계 요소 및 적용 조건을 기반으로 추정 및 평가하는 방안에 관한 본 연구는 총 2차년도로 구성되며, 연차별 연구 목표 및 연구 방법, 세부 추진 전략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 ◆ 기존 사례 검토 - 관련 문헌 검색, 조사 및 수집 - 유효 방사율 추정 방식에 따른 특성 분석 ◆ 추정 방안 수립 -... |
| 기대효과 |
“New Space”의 도래와 함께 중/소형 인공위성의 개발 수요가 점증하는 가운데, 인공위성 열 제어계 개발의 중요 고려 요소인 우주용 다층박막단열재의 유효 방사율을 설계 요소 및 적용 조건을 기반으로 추정함으로써 추정 결과의 신뢰성 개선 및 인공위성 열 제어계 개발 결과의 완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설계 요소 및 적용 조건을 바탕으로 개별... |
| 키워드 |
우주용 다층박막단열재,유효 방사율,성능 평가 지수,단열 성능 평가,수치모델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