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기존 미디어들의 공통적 단점은 정보를 받아들이는 사용자의 인지 상태와 상관없이 동일한 콘텐츠를 일률적으로 제공한다는 점. 이로 인해 현대인들은 인지 과부하 상태에서 피로감과 비효율성 경험. 따라서 사용자의 현재 인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춘 정보 제시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며, 그것이 해당 미디어가 가진 효과성과 시장성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음. 가... |
| 연구내용 |
상기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해 인지심리학, 신경과학, 컴퓨터과학의 연구방법론을 융합해 피험자들이 실험 조건별 인지행동과제를 가상현실에서 수행할 때의 행동반응과 안구추적·뇌전도 데이터가 동시에 수집됨. 주요 연구방법은 VR HMD를 이용한 인지행동실험과 eye-tracking, EEG를 이용한 생체·행동 데이터 측정 및 분석, 기계학습을 통한 인지상태 분류 알... |
| 기대효과 |
* 학문적/기술적 측면: 본 연구의 목표는 VR환경에서 사용자의 인지 상태를 정확히 추론할 수 있는 생체·행동 데이터의 최적의 결합 방법을 규명하는 것. 이러한 연구는 인지신경과학적 기초학문의 진보뿐만 아니라, 생체정보인식 기술, 응용인지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 경제적/산업적 측면: 최근 시장 규모가 폭발... |
| 키워드 |
인지상태,가상현실,안구추적,뇌전도,기계학습,주의,인지부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