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우주개발 중점기술이 자립화되어 있지 않아, 해외기술 의존 및 체계개발 지연이 발생하고, 국내 우주기술 수준이 낮아 기존 국가 우주개발사업은 선진국 추격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당면체계에서 요구되는 기술 확보 중심으로 추진되어 국내 산업계 우주개발 역량 확보 미흡과 지속적으로 해외기술에 의존하게 되는 악순환구조가 지속되고 있음. 본 사업을 통하여“우주전략기술... |
연구내용 |
우주 체계에 활용되는 요소기술 중 중점 기술을 대상으로 `30년까지 계획된 체계에 활용예정인 전략기술 조기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로 추진하며, 체계 연계시점을 고려하여 QM의 지상검증까지 완료하고 체계사업으로 연계 가능하도록 개발하여, 필요 시 우주검증을 추진한 후, 체계연계를 추진함. 최종적으로 체계사업 수행기관에서는 TRL7단계 수준으로 기술이 확보되어야... |
기대효과 |
산학연 컨소시엄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개발되는 중점기술은 체계사업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지상시험 검증까지 수행하여 체계 사업 활용과 우주검증 요구 기술은 국가 과학검증 체계사업과 연계하고, 우주검증까지 요구되지 않는 기술은 국내외 민간시장과 연계하여 민간의 우주개발경험을 확보하고, 우주개발 역량을 향상시켜 우주개발 산업생태계 강화에 기여함. 제3차 우주개발진흥... |
키워드 |
스페이스 파이오니어,발사체,위성체,우주개발,우주전략기술,중점기술,국산화,체계 연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