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생체신호기반 보행의도 감지 및 로봇의족 구동 기술 개발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주관)생체신호기반 보행의도 감지 및 로봇의족 구동 기술 개발 |
과제고유번호 |
1711138419 |
부처명 |
다부처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09-01 ~
2022-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최종목표절단장애인의 생체신호에 의한 바이오피드백 보행의도 감지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의족 구동 기술 세부목표- 실시간 근육 구조 센싱(EIT) 기법을 이용한 건식 생체신호 센서 모듈 개발 - 생체신호에 의한 보행의도 감지 및 제어 신호 생성 기술 - 임상의에 의한 보행 능력 개선 확인 성과활용목표절단 장애인의 로봇 의족의 사용자 편이성 개선 및 이로 인... |
연구내용 |
생체 신호 모듈 개발 • 하지부의(정확한 위치) 근전도와 EIT(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기술을 결합한 생체신호 모듈 개발. 소켓 상부에 밴드형으로 설치되어 근육 생체 신호와 잔존 근 골격 부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도록 제작. 절단 환자 보행 생체 신호 측정 프로토콜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윤리심의원회의 IRB 승... |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새로운 고속 생체신호 측정 기법을 통한 보행자의 보행관련 기초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의료기기 및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함. • 보행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동작을 구속하지 않고 보행 의도를 예측하는 기술 개발은 다양한 환자와 증상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의료기관 및... |
키워드 |
생체신호, 보행, 의도, 로봇, 의족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기계 > 로봇/자동화기계 > 로봇 제어/지능화기술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건강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사업비
국비 |
2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주관)생체신호기반 보행의도 감지 및 로봇의족 구동 기술 개발 |
과제고유번호 |
1711138419 |
부처명 |
다부처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09-01 ~
2022-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최종목표절단장애인의 생체신호에 의한 바이오피드백 보행의도 감지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의족 구동 기술 세부목표- 실시간 근육 구조 센싱(EIT) 기법을 이용한 건식 생체신호 센서 모듈 개발 - 생체신호에 의한 보행의도 감지 및 제어 신호 생성 기술 - 임상의에 의한 보행 능력 개선 확인 성과활용목표절단 장애인의 로봇 의족의 사용자 편이성 개선 및 이로 인... |
연구내용 |
생체 신호 모듈 개발 • 하지부의(정확한 위치) 근전도와 EIT(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기술을 결합한 생체신호 모듈 개발. 소켓 상부에 밴드형으로 설치되어 근육 생체 신호와 잔존 근 골격 부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도록 제작. 절단 환자 보행 생체 신호 측정 프로토콜 개발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윤리심의원회의 IRB 승... |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새로운 고속 생체신호 측정 기법을 통한 보행자의 보행관련 기초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의료기기 및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함. • 보행 진단 기술뿐만 아니라 동작을 구속하지 않고 보행 의도를 예측하는 기술 개발은 다양한 환자와 증상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의료기관 및... |
키워드 |
생체신호, 보행, 의도, 로봇, 의족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기계 > 로봇/자동화기계 > 로봇 제어/지능화기술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건강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사업비
국비 |
2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