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연구목표 1] Ex vivo에서 4-EA-NBOMe의 비의존성 검증 연구- 원시신경세포에서 4-EA-NBOMe가 시냅스의 신호전달을 조절함(선행연구, 계획서 p3)을 바탕으로 마우스 측좌핵의 전기생리학적 측정을 통해 실제 비의존성의 여부를 검증하고자 함.[연구목표 2] 4-EA-NBOMe의 시냅스 신호전달에 관련된 대사체 기전 연구- 원시신경세포 및 마우... |
| 연구내용 |
[연구의 필요성]- 현재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4-EA-NBOMe'를 포함한 우리나라에 지정된 임시마약류 106종의의존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동물행동실험이 유일하며, 이를 진행하기 위해 큰 규모의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음.- 본 연구를 통해 전기생리학적 접근으로 신종 마약류의 신규 평가법 등의 시험법을 구축하는 토대를 마련하여 현재의 의존... |
| 기대효과 |
[학문 및 연구적 기대효과]– 기초연구 활성화: 신경생리학, 전기생리학을 통해 약물 검증법을 구축에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등을 제시하고, 이 결과의 특허 및 논문화를 통해 국제 위상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유효성 및 독성의 데이터베이스 확보: 마약과 같은 중추신경계 조절물질들의 유효성 및 독성 등을 평가하고, 독성 부작용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확... |
| 키워드 |
4-EA-NBOMe,전기생리학,비의존성 시냅스 조절,비의존성 분자 기전,대사체학,임시마약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