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본 연구개발 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목표는 “실용급 지구 저궤도 위성용 다중 광학머리 별 추적기 인증모델(QM)” 개발임.○기존 단일 광학머리(Single Optical Head) 별 추적기는 다중 광학머리 별 추적기에 비해 자세정확도 및 동적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특히 광축 방향의 자세정확도가 부정확한 단일 광학머리 별 추적기로는 다목적실... |
| 연구내용 |
○본 연구개발 과제를 통해 개발되는 다중 광학머리 별 추적기는 제안요청서상의 성능규격에 부합하도록 개발모델(DM), 공학모델(EM) 및 인증모델(QM)과 같은 단계별 시제모델을 기반으로 연구개발의 기술적 위험도를 낮추고 또한 각 시제모델별 검증을 통해 보다 신뢰도 높은 시스템으로 개발하고자 함. 따라서 최종목표 달성을 위한 각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
| 기대효과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의 위성체 개발 계획에 따라 개발되는 다음과 같은 위성 시스템의 주 자세결정 센서로 활용차세대소형위성 4호(26년)다목적실용위성 9호(28년)차세대중형위성 6호(25년) 이후 추가 19기(~30년)국가위성항법시스템(29년~34년, 3단계)○단품 해외판매제안사의 기존 별 추적기를 대체하는 고성능... |
| 키워드 |
별 추적기,다중 광학머리,자세결정,기하보정,별 인식,산란광 감쇄,잡음각,저주파오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