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2018 WHO의 보고에 의하면 한국의 경우 다른 미국 및 유럽을 포함한 선진국과 비슷하게 연간 10-12.4 리터의 많은 양의 알코올을 소비하며, 1960년대 5%의 비만율이 2010년에 16.9%로 급증하여 지방간질환이 현저히 증가함. 따라서 지방간을 포함한 알코올 및 비알코올성 간질환 발생에 대한 전 세계적 대책이 필요함.그러나 간질환에 대한 많은 연... |
연구내용 |
다양한 신경전달 물질들 중, 글루타메이트(Glutamate)는 간세포에서 생성됨에도 불구하고 그 신경학적 신호전달 및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아직까지 명확하게 조사된 바 없음. 본 연구팀은 이전 연구(Cell Metabolism 2019)를 통해 간세포뿐만 아니라 비실질세포들에서도 글루타메이트 대사(metabolism), 저장(storage), 수송체들(... |
기대효과 |
간질환에 대한 학문적 패러다임 전환 및 혁신적 치료제 개발 기여: 알코올 및 비알코올성 간질환 발병시 '글루타메이트 신호전달의 중요성'을 명확히 규명하여 '신경학적 간'의 새로운 학문적 패러다임을 제한함.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글루타메이트를 주원인으로 한 '가장 적합한 지방간염 동물모델'을 제시하고 '질병의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혁신적인 치료제 개발'에 기... |
키워드 |
간세포,비실질세포,글루타메이트,분비,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지방간염,비알코올성 간질환,알코올성 간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