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1
2024-05-22
내역사업 | 신진중견연계 |
---|
과제명 | 간 내 세포 기전 규명을 통한 비알콜성 지방간 조절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8849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03-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Tissue 내 존재하는 macrophages (kupffer cells, KCs)의 M1/M2 polarity의 balance가 다양한 암 및 염증 질환에 연관되어있다는 보고가 다수 있음. Liver-resident macrophage인 KCs의 polarity 역시 NAFLD 및 NASH와 같은 간 염증질환에 연관되어있음. 따라서 본 연구자는 KCs p... | ||
---|---|---|---|
연구내용 | - Liver macrophage인 kupffer cell은 M1 pro-inflammatory phenotype으로 activation 되며, 염증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해 간 염증 (liver inflammation) 반응에 관여함으로써 NAFLD 및 NASH 발병 진행에 관여함. 따라서 직접적으로 간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도 있지만, KCs polariz... | ||
기대효과 | ⚬ Ubiquitin-Proteosome Sytstem을 타깃으로 하는 약물은 타깃에 특이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승인된 것은 없음. 따라서 유전적 변이 또는 감염 등에 의한 질병에서 유비퀴틴화에 관여하는 E3 ligase와 deubiquitinase (DUB) 의 역할을 규명하는 일은 향후 관련 치... | ||
키워드 | 간 염증반응,지방 간염,쿠퍼세포,유비퀴틴화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분자세포생물학 > 신호전달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화학연구원부설안전성평가연구소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화학연구원부설안전성평가연구소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