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114
2024-05-22
내역사업 | 의료기기 사업화 역량 강화 |
---|
과제명 | (참여1)3D 센서 기반 관절 가동범위 (동작분석) 측정기기의 성능 검증을 위한 전향적, 다기관, 탐색적 임상 시험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8912 | ||||
부처명 | 다부처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11-01 ~ 2022-04-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5-01 ~ 2022-04-30 |
연구목표 | 본 임상시험은 대관절의 가동범위 측정 및 동작분석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 의료기기인 'POM CHECKER'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조기기 '고니어미터(Goniometer)를 이용한 관절 가동 범위(기능성) 측정'에 비하여 비열등함을 증명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는 전향적, 다기관, 탐색적 임상시험임. | ||
---|---|---|---|
연구내용 | 본 임상시험은 사지의 관절 중 대관절(어깨, 엉덩이, 척추)의 가동범위 측정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POM CHECKER'의 3D센서 비접촉 방식의 관절 측정 방법이 대조기기인 '고니어미터(Goniometer)를 이용한 고식적 측정방법'에 비해 비열등함을 증명하고자 한다. 또한, 관절의 운동 기능성 지표 측정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POM... | ||
기대효과 | 관절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는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며, 해당 각도가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한다. 관절가동 범위는 관절 질환의 진단, 치료의 정도 판단, 장애 정도의 판단, 운동 치료 등에서 중요한 척도로 사용되고 있다. 정확한 관절가동범위 측정은 신체 기능의 평가, 수술... | ||
키워드 | 비접촉, 대관절, 가동범위, 동작분석, 의료소프트웨어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개발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의료기기・S/W안전관리 > 의료기기 성능/유효성 평가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의료,정밀,광학기기및시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건양대학병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건양대학병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석사 | 최종학력전공 | 의약보건학 |
국비 | 1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