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신경세포 전구체 (ventral progenitor cell)로의 분화 과정에서 small GTPase의 기능 확인을 위한 선행연구 결과에서 1) small GTPase인 Rab2a, Rab2b의 신경관 발생 과정에서 세포 신호 조절 가능성 확인 2) 기존 헤지호그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Rab2a, 2b의 상호작용 확인 3... |
| 연구내용 |
-인간배아줄기세포 기반 ventral progenitor cell 분화 시스템 구축-인간배아줄기세포 기반 Rab2a, Rab2b 발현 시스템 구축-섬모 형성 모니터링을 통해 헤지호그의 신호전달 조절에 관여하는 Rab2a, 2b 역할 확인 -Small GTPase 발현 조절에 따른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신경관 세포로의 분화 조절 확인 -Rab2a, Rab2b ... |
| 기대효과 |
□ 헤지호그 연구 분야의 난제인 세포내 신호전달계 기전 규명의 필요성을 신규 유전자 발굴로서 충족시키고, 분자 수준부터 마우스 동물모델 개체 수준에 이르기까지 그 기능을 검증함으로써 헤지호그 관련 질병의 문제점 극복에 기여할 것임. 궁극적으로 신규 헤지호그 신호조절 유전자를 규명하는 것은 척추동물 특이적 헤지호그 신호전달계 조절 기전에 대한 지식을 제공함과... |
| 키워드 |
헤지호그,신경 발생,Small GTPase,Rab2a,Rab2b,섬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