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2차 구조의 피부 성체 줄기세포를 외부 환경(미세먼지)에 노출시켰을 때 변화하는 주요 유전자 발현 패턴과 크로마틴 및 후성유전체 접근성 평가를 분석하여, 핵심 후성유전체 조절 단백질을 발굴하고 네트워크 기전을 확인한 후, 타겟 유전자를 변형시킨 3차 구조 피부 오가노이드를 제조하여 피부조직 내 성체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지 ... |
| 연구내용 |
피부조직은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적 스트레스에 일차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특히 자가분열하거나 하위 세포로 분화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피부 성체 줄기세포는 환경 변화에 민감한 후성유전체 조절 기전에 의존하여 조직 내 항상성을 유지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피부 성체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지 기전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다음 연구를 진행하고자 ... |
| 기대효과 |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의 피부 성체 줄기세포 분화 기술이 온전하지 않은 점과 피부 성체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도 기전이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므로 피부 질환에 연관된 신규 질환 타겟의 작용 기전 및 미세먼지 환경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는 외부 환경과의 상호연관성 및 조절 기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피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대기 오염, ... |
| 키워드 |
피부 성체 줄기세포,조직 내 항상성,미세먼지,후성유전체,피부 오가노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