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이 연구에서는 에너지 전달 및 상태 변환에 관한 이론들을 집대성하며, 유기발광소재 환경과 같은 분자 집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들을 개발하고, 계산 비용이 매우 높다고 알려진 결합항 계산을 효율화하는 전략을 수립할 것이다. 이들 기법들을 이미 알려져 있는 다양한 분자계에 적용하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비교에 기반하여 새로운 분자를 설계할 수 있도록 ... |
| 연구내용 |
분자들 사이의 에너지 전달 또는 여러 전자 상태 사이의 상태전환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러 상태의 에너지와 그들 사이의 결합항이 포함된 해밀토니언 정보를 얻고, 이 해밀토니언을 이용하여 에너지 전달 또는 상태 전환의 동력학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1) 여러 성분 분자들 사이의 에너지 전달과 여러 전자 상태 사이의 상태 변환을 설명할 수 있... |
| 기대효과 |
들뜬 상태의 동력학 연구에 이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이론 체계의 발전은 물리화학 분야에서 아직 발전이 더딘 분야이며, 이에 제안 연구의 수행은 학문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아울러, 제안 연구가 성공한다면 새로운 청색 발광 물질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개발에서 효율적인 청색 발광 분자를 개발하는 것은 경제적으... |
| 키워드 |
들뜬 에너지 전달,삼중항-삼중항 소멸,삼중항-삼중항 병합,엑시톤 모델,덱스터 결합,기계학습,발광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