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성 지방간 발생시 간성상세포들의 엔도카나비노이드 합성기전을 밝혀 신경계활성과 지질대사와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시 간세포의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물질들에 의해 간성상세포들의 활성이 유도되며 이후 면역세포들의 증가된 인터페론 분비가 간세포의 지질대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여, 결과적으로 간내 신경 및 면역신호에 ... |
| 연구내용 |
1. 연구배경: (1) 간질환 발생의 변화 : 지금까지는 바이러스성 간염이 가장 큰 사회적 문제였으나 최근 항바이러스에 효과적인 약물들이 개발되는 반면, 스트레스와 과도한 알코올 및 영양섭취에 따른 알코올성(폭음) 및 비알코올성(비만) 지방간 발생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간염, 간경변 및 간암이 현저하게 증가할 것임. 따라서 간경변 및 간암에... |
| 기대효과 |
- 학문발달: 본 연구를 통하여 '간내 신경 및 면역계 유래 지방간 형성기전'을 새로이 규명하여 Neurometabolism과 Immunometabolism에 대한 기초학문 발달에 기여 - 치료기술발달: 지방간 형성에 관한 타겟 발굴을 통한 제어 및 치료기술 연구 활성화- 인력양성: 지방간과 관련된 세계최고 수준의 인력양성과 국제적인 학문교류의 활성화 |
| 키워드 |
알코올성 지방간,글루타메이트 수송체,세포외소포체,레티놀 대사,비알코올성 지방간,CD1d 수용체,NKT세포,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