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정밀의료의 바탕이 되는 바이오 빅데이터는 사후적 치료 중심에서 개인 맞춤형 치료·예방 의료로 전환되는 추세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 및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이 시급하며, 이에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의 표준화 및 활용을 위한 기반 마련을 위해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을... |
연구내용 |
(1) 희귀, 선도사업의 자원 및 데이터 확보 ○ 정부 재원으로 수행된 데이터 보유 사업(선도사업)과 데이터 연계하여 유전체 데이터 확보(1만건) - 유전체 보유 선도사업(5,000건) 및 임상정보 보유 선도사업(5,000건) 선정하여 유전체 데이터 연계·확보 ○ 희귀질환 유전체 데이터 확보 (1.5만건) (2) 유전체 서열분석 및 분석보고서 작성 ... |
기대효과 |
(의료서비스 분야) 한국인 호발 희귀·난치 질환의 유전자 원인을 규명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 진단·치료 기술 개발 및 신약개발 등에 활용 (산업적 활용) 유전체 데이터 분석 S/W의 국산화하며, 데이터를 활용한 신약 및 의료기기 제품 개발함으로써 바이오헬스 산업의 혁신적 성장을 도모 (데이터 연구 활용) 연구자들을 위한 고품질의 바이오... |
키워드 |
빅데이터,유전체,임상정보,희귀질환,오믹스,데이터 분석,임상분석연구네트워크,연구지원 인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