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 화학제품 제조용 태양광 화학공장 원천기술 개발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고부가 화학제품 제조용 태양광 화학공장 원천기술 개발 |
과제고유번호 |
1711141625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5-01-01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1) 최종목표- 고부가 화학물질의 선택적 제조를 위한 태양광 화학공장 (Solar Chemical Factory) 플랫폼(Platform) 전환반응 원천기술 개발 2) 2019년도 목표(2단계, 1년차)- 고효율의 새로운 광촉매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고부가 화합물 제조용 태양광 화학공장 Platform 광전환 적용반응 기술 개발 |
연구내용 |
1) 광·바이오 융합 인공광합성 핵심 가시광 광촉매 개발 및 박막화 - 새로운 COF 가시광 광촉매 개발을 위하여 페렐린(perelyne)을 발색단으로 함유하고 있는 “공유결합성 트리아진 골격구조체(covalent triazine framework, CTF)”를 필름 형태로 합성하여 적층 결정구조 및 물질 특성을 규명 2) 광촉매 고효율화를 위한 신규 Gr... |
기대효과 |
1) 과학기술적 관점 - 광촉매 바이오촉매 융합시스템 원천기술의 확보를 통한 세계 기술력 및 관련 시장 주도 - 융복합 분야의 실용화 기술 창출 2) 경제적 관점 - 나노기술 전 분야와 대체에너지 생산 및 청정 화합물 생산 분야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산술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막대할 것으로 예상 - 개발 성공시 세계 Sustainable Chemi... |
키워드 |
광에너지기술, 광-바이오 융합, 인공광합성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화학 > 광화학 > 태양에너지화학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제조업(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사업비
국비 |
44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고부가 화학제품 제조용 태양광 화학공장 원천기술 개발 |
과제고유번호 |
1711141625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5-01-01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1) 최종목표- 고부가 화학물질의 선택적 제조를 위한 태양광 화학공장 (Solar Chemical Factory) 플랫폼(Platform) 전환반응 원천기술 개발 2) 2019년도 목표(2단계, 1년차)- 고효율의 새로운 광촉매 개발 및 이를 이용한 고부가 화합물 제조용 태양광 화학공장 Platform 광전환 적용반응 기술 개발 |
연구내용 |
1) 광·바이오 융합 인공광합성 핵심 가시광 광촉매 개발 및 박막화 - 새로운 COF 가시광 광촉매 개발을 위하여 페렐린(perelyne)을 발색단으로 함유하고 있는 “공유결합성 트리아진 골격구조체(covalent triazine framework, CTF)”를 필름 형태로 합성하여 적층 결정구조 및 물질 특성을 규명 2) 광촉매 고효율화를 위한 신규 Gr... |
기대효과 |
1) 과학기술적 관점 - 광촉매 바이오촉매 융합시스템 원천기술의 확보를 통한 세계 기술력 및 관련 시장 주도 - 융복합 분야의 실용화 기술 창출 2) 경제적 관점 - 나노기술 전 분야와 대체에너지 생산 및 청정 화합물 생산 분야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산술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막대할 것으로 예상 - 개발 성공시 세계 Sustainable Chemi... |
키워드 |
광에너지기술, 광-바이오 융합, 인공광합성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화학 > 광화학 > 태양에너지화학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제조업(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화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사업비
국비 |
44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