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1. 환경의 bioavailable Cu2+ 농도(부족으로 인한 AMO 활성 저하 또는 과다로 인한 독성)에 의해 ammonia oxidizing bacteria (AOB: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ammonia oxidizing archaea (AOA: 암모니아 산화 고세균)의 성장 및 암모니아 산화반응이 받는 영향을 밝힌다.2. Alphaproteobact... |
| 연구내용 |
1. 구리의 부족 또는 과다한 현상이AOB와 AOA의 NH3 산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한다.1) AOB, AOA 각각 1개 종을 배양하여, chelex 100 resin을 이용하여 구리를 최대한 제거한 medium에 계대배양한다. 이 때 NH4+, N2O, NO2-의 농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구리 부족 하에서 NH3 산화 반응 저해... |
| 기대효과 |
1. 본 제안 연구는 CH4 oxidation과 NH3 oxidation 이라는 지구생화학적 물질순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반응 간의 연결고리를 탐색하는 면에서 큰 의미를 갖는 연구이다. Methanotroph와 AOB/AOA 간의 상호작용의 가능성은 논문에서 수차례 언급된 바 있으나 직접적인 연관 관계를 밝힌 연구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매우 큰 임팩트... |
| 키워드 |
구리 스트레스,암모니아산화균,암모니아산화고세균,메타노박틴,라만분광법,싱글셀,메탄산화균 ,암모니아 산화 효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