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cGAS-STING 매개 선천면역 경로는 감염, 자가염증질환, 자가면역질환, 그리고 항암면역활성을 유도하는 등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 기존 연구를 통해 cGAS-STING의 생화학적 활성기전은 많이 밝혀졌으나 세포내 활성화 위치 등 세포학적 활성화 및 조절 기작은 밝혀져 있지 않음. 본 연구실에서는 최근에 미토콘드리아와 칼슘이 STING 경로 조절에 ... |
| 연구내용 |
● 본 연구는 총 5개의 연구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연구내용은 본 연구진의 선행연구결과에 기반하고 있고, 각각의 연구내용은 매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미토콘드리아-소포체 접촉, 미토콘드리아의 역동성, 대사의 세 가지 세포 생물학적 모듈의 상호작용을 생화학, 세포생물학, 질량 및 대사체 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규명하고 이를 ... |
| 기대효과 |
STING에 대한 기존 연구는 생화학, 구조생물학 또는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PTM)에 집중되었는데 STING경로의 활성화에서 대사와의 연관성은 밝혀진 바 없고 STING이 세포소기관 위치에서 어떤 조절을 받는 지와 그 기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알려지지 않음. 따라서, 세포내에서 그 위치를 제한하는 막단백질 특성에 초점... |
| 키워드 |
STING,미토콘드리아,대사,선천면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