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뇌기능 자기공명영상 (fMRI) 및 근적외선 분광시스템 (fNIRS)을 이용하여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의 신경생리반응 변화를 측정·분석하고, 이를 통해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 (transient ischemic attack, TIA)에서 뇌졸중으로의 진행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뇌 영상기반 정량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 연구내용 |
1차 연구목표: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의 신경생리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혈류·대사반응 분석기법 개발연구배경: 일과성 허혈발작은 혈전, 색전 또는 혈관의 수축으로 인해 뇌로 가는 혈액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나빠져 운동마비, 감각장애 등의 증상을 발생시킨 후 뇌경색 (cerebral infarct)으로 진행하지 않고 24시간 내에 증상이 완전히 없어지는 가역적인 변... |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뇌 기능 MRI, NIRS를 활용하여 일과성 허혈발작 환자로부터 뇌졸중의 조기재발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정량적인 신경, 생리변화 지표를 제시하고 있음. 이는 추후, 증상이 없지만 뇌졸중 발생위험이 높은 대상을 선별하여 뇌졸중의 발생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됨.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법은... |
| 키워드 |
일과성 허혈발작,뇌기능 자기공명영상,뇌기능 근적외선분광시스템,혈류 대사반응,뇌 신경 연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