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우리의 뇌는 수천 종류의 뇌세포들로 구성되어 있고, 발생 과정 중 순차적인 전사인자 발현에 의한 세포 운명결정과정을 통해 각기 다른 뇌세포들의 분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는 역동적이고 정교한 유전자 발현이 필수적이며, 후성유전체 연구를 통해 전사 조절을 통한 세포운명결정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전사 후 조절의 기능적 중요성과 상세 기... |
| 연구내용 |
대뇌 발달 과정은 크게 신경줄기세포가 증식하고 심층 신경세포를 만들어 내는 초기신경생성 단계, 다량의 표층 신경세포를 만들어내는 후기신경생성 단계, 신경세포 생성을 끝내고 신경교세포를 주로 생성하는 교세포생성 단계로 진행된다. 첫번째로, 이와 같은 대뇌 발달의 각 단계별로 m6A 메틸화와 구아닐화 말단 변형의 후성전사체 변형 지도를 작성할 것이다. 이를 위... |
| 기대효과 |
후성전사체 변이가 RNA의 다양한 대사 과정을 조절할 수 있다고 알려져 왔지만, in vivo생체 조직을 구성하는 여러 종류의 세포들의 운명 결정과 분화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다. 기존의 세포 실험을 통한 연구들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후성전사체 조절 인자들의 기능을 파악하는데 한계점을 노출하였다. 본 연구는 i... |
| 키워드 |
후성전사체 조절,선택적 mRNA 분해,대뇌 발생,전사후 조절을 통한 유전자 발현 조절,인간 대뇌 오가노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