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71
2024-05-22
내역사업 | 기본연구 |
---|
과제명 | 인공지능을 활용한 피처 모델 기반 복잡 소프트웨어 시스템 결함 위치 추정 | ||||
---|---|---|---|---|---|
과제고유번호 | 1711145925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06-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CPS, IoT, SoS 등을 위시한 복잡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피처 모델링하여 결함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 각 기법들의 위치 추정 결과를 실행 상황 및 환경 특성에 맞게 조합하는 인공지능 기반 기술을 개발실패 시 금전 및 인명 피해가 초래될 수 있는 도로 교통 통제 CPS, 스마트시티 SoS, 재난 감지 IoT 등의 결함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 | ||
---|---|---|---|
연구내용 | 복잡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실패가 발생했을 때 그 실패로부터 시스템을 복구하고 원인을 제거하는 데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디버깅 과정보다 훨씬 큰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투입 가능한 시간적, 금전적,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결함을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도록 실패의 원인이 되는 결함의 위치로 의심되는 부분들을 자동적으로 찾아내 인간 개발자에게 보고하는... | ||
기대효과 | 복잡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결함 위치추정 기술은 시스템의 실패 원인을 빠르게 분석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동적 재구성 등의 후속 조치를 효과적으로 취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결함 위치추정의 결과를 이용하여 개발자는 복잡 소프트웨어 시스템 실패 상황 발생 시에 그 원인이 되는 결함을 보다 빠르고 쉽게 찾아낼 수 있게 되고 궁극적으로 시스템의 가용성과 신... | ||
키워드 | 소프트웨어 결함 위치 추정,복잡 소프트웨어 시스템,인공지능 기반 소프트웨어 결함 위치 추정,복잡 소프트웨어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IT(정보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정보/통신 > 소프트웨어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5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