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최종 연구 목표- 유전자 편집 및 교정 시 Chromosome 구조, 단백질 등 세포 환경 특이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Off-target의 발생 기작을 예측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 연도별 연구 목표- (1년차) 유전자 편집 기술의 작동 방식, sgRNA∙shRNA plasmid 생산 및 실험 단계에서의 문제점, 기존 연구를 통해 밝... |
| 연구내용 |
⭕ Genome-wide pooled screen study 기반 Off-target 예측 알고리즘 개발- 기존 CRISPR Off-target 검증 연구 결과에 의하면, 20-bp 길이의 CRISPR/Cas9을 기준으로 mismatch(≤5-bp) 및 indel(≤1-bp)이 존재하는 영역까지 광범위하게 off-target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함(Na... |
| 기대효과 |
⭕ 염기 서열 및 세포 환경 기반 Off-target 발생 기작 예측 기술은 현재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CRISPR, hairpin RNA 기술 뿐 아니라 기존의 CRISPR/Cas9를 개선한 미래 기술(xCas9, SpCas9-NG 등)에서도 활용 가능- CRISPR 및 shRNA 기술 기반 유전자 기능 제어는 크게 2 단계로 진행됨. 1) DNA-RNA ... |
| 키워드 |
바코드 시퀀싱,유전자 편집 기술,오프타겟 효과,다중 오믹스 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