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종양미세환경은 암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면역반응이 억제되어있어 면역항암제의 낮은 반응성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종양미세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가 암 관련 섬유아세포이다. 암 관련 섬유아세포를 표적으로 종양미세환경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세포 간 상호작용과 세포 내 복잡한 조절 기전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 
                            
                            
                                | 연구내용 |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섬유아세포와 암 관련 섬유아세포의 대사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가상세포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대사 조절 표적 예측 방법론을 개발하여, 암 관련 섬유아세포를 정상 또는 비활성 암 관련 섬유아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대사 조절 표적을 예측 및 검증하고자 한다.1. 정상 및 암 관련 섬유아세포 가상세포 구축 및 대사 특성 분... | 
                            
                            
                                | 기대효과 | 
                                - 종양미세환경을 구성하는 암 관련 섬유모세포의 대사 특성을 규명하고, 세포간 상호작용 및 세포 내 조절 기전에 대한 이해를 향상하여 암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 암 관련 섬유아세포 특이적 대사를 조절하며 작용기전이 명확한 조절 표적을 발굴한다면, 부작용 적은 면역항암제 병용투여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면역반응이 억제된 종양미세환경을 개선할... | 
                            
                            
                                | 키워드 | 
                                인공지능,가상세포,종양미세환경,암 관련 섬유아세포,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