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2
2024-05-22
내역사업 | (유형1-1)중견연구 |
---|
과제명 | 골대사 표지자 형광 모니터링 기술 | ||||
---|---|---|---|---|---|
과제고유번호 | 1711146734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09-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일생동안 끊임없이 일어나는 뼈의 생성과 분해를 반영하는 생체지표인 ① 골형성 및 골흡수 생화학표지자에 특이적으로 감응, 화학구조 변화에 의해 형광을 발현하는 소재 개발과, 이를 인공 골이식재나 체내 골조직 전달용 나노입자 등에 표지하여 골대사 과정 즉, 골다공증, 골관절염, 골절 등의 골질환 치료 후 ② 뼈가 재생 또는 분해되는 양상을 실시간 형... | ||
---|---|---|---|
연구내용 | ‣ 1차년도(0.5년): 골대사 활성 생화학표지자 감응 형광소재 개발- 골형성표지자인 뼈특이적 효소(BAP), osteocalcin, procollagen type I C-peptides 등에 특이적으로 감응하여 형광을 발현하는 근적외선 형광소재 계 및 합성- 골분해표지자인 TRACP, cathepsin K 및 골분해 세포활성에 의한 pH 변화 등에 특이... | ||
기대효과 | ◦ 골대사는 골형성 및 골흡수가 상호 균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생화학표지자를 동시 비교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이러한 골전환율(bone turnover)의 생화학표지자는 인간과 동물의 골대사 연구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왔음. ◦ 골다공증 등의 진단을 위한 골밀도 검사는 치료 후 1~2년 이후에나 확인 가능하고 반복적 측정이 어려... | ||
키워드 | 골대사,생화학표지자,형광프로브,바이오이미징,나노바이오소재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융합바이오 > 나노바이오소재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1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