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암이 다른 장기로 퍼지는 현상인 전이는 현존하는 진단 및 치료기술의 한계로 인해 암 환자 사망률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암 전이 기작을 이해하는 것은 전이 예측 및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이다. 초기 전이 연구의 대부분은 암세포 자체의 특성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최근 연구들을 통해, 전이되는 장기내의 특이적인 미세환경 (microenvir... |
| 연구내용 |
본 계획서는 다양한 암종에서 기관 특이적 전이를 조절하는 암세포-미세환경간 상호작용과 그 세포생물학적, 분자적기전 규명을 제안한다. 1. 유방암과 폐암의 주요 전이 기관인 뇌, 유방암과 피부암의 전이 기관인 폐 미세환경 내 기질세포와 암세포 상호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전사체 변화 및 크로마틴 변형 (chromatin modification) 분석. 1)... |
| 기대효과 |
1.본 연구는 암-미세환경간 상호작용 조절을 통해 기관특이적 전이를 관장하는 다양한 세포들의 기능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2.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기초 암연구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써 학문적 경쟁력을 키울 뿐 아니라, 기초와 중개 암연구의 연계성을 강화시키고, 산학 협동연구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3. 또한, 전이암 치료의... |
| 키워드 |
기관 특이적 전이,유방암 및 폐암의 뇌전이,유방암 및 피부암의 폐전이,미세환경,기질 세포,약물 반응성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