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발달로 해킹에 대한 위험성도 높아져 개인정보 유출 등의 보안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보안 기술의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해결 방안으로 물리적 복제 방지 기능(Physical Unclonable Function, PUF)이 큰 주목을 받고 있음.... |
| 연구내용 |
Electrochemically Active 물질을 Insulator 내에 침투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암호화 소자를 제작할 계획임. 이는 2단자 소자로, 기존의 뉴로모픽 컴퓨팅을 위한 멤리스터와 유사한 구조지만, 소자 간의 Variation과 I-V nonliearnity를 Engineering하여야 하는 점에서 다른 동작 조건을 가짐. 새로 개발하려는 암... |
| 기대효과 |
IoT 산업이 발달하면서 개인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에 더욱 접근하기 쉬워지고 있음. 사물 인터넷으로 연결된 다양한 기기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와 서버 간의 안전한 통신이 중요함.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소자를 활용하면 하드웨어 안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더욱 예측하기 어려워질 것이며, 동시에 저전력의 집적도 높은 P... |
| 키워드 |
암호화 소자,이온 기반 소자,프로그램 가능한 소자,물리적 복제방지기술,암호화 하드웨어,CMOS 칩,주변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