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우주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우주 내 천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인류가 발견한 가장 과학적인 거리측정 방법은 소위 '표준촛불(standard candle)', 즉 그 고유 밝기를 알고 있는 천체를 이용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표준촛불들이 개발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제Ia형 초신성이 가장 멀리 그리고 정확한 표준촛불이라고 할 수 있다... |
| 연구내용 |
위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두 단계로 나뉜다.가) 블레이자를 활용한 새로운 표준촛불 검증: 블레이자는 매우 변광이 심하고 큰 폭발을 겪는데, 이 블레이자를 이용한 거리측정의 핵심은 블레이자 제트의 밝기온도(brightness temperature)를 변광을 이용한 인과관계와 초장기선간섭계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는 것이다.... |
| 기대효과 |
새로 제시하는 표준촛불은 현대 우주론모델을 비교적 가까운 (z<2)우주에서 검증한 연구팀에 노벨상을 안긴 제Ia형 초신성의 아성을 위협하고, 우주초기까지 거슬러 가며 일관되게 검증할 수 있는, 또 인류의 우주에 대한 지식을 뒤집을지도 모르는 독보적인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성공은 우리 인류의 우주에 대한 이해를 우주탄생 초기까지 확장 시키... |
| 키워드 |
표준촛불,블레이자,초장기선간섭계,활동은하핵,상대론적 제트,한국우주전파관측망,초대질량블랙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