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근 국내·외의 일련의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화재를 포함하여 전기자동차의 빈번한 화재 발생,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화재 발생으로 인해 '안전성'문제에 대한 재고가 필요해졌다. 따라서 최근 이차전지 연구의 동향은 에너지 밀도의 향상과 더불어 전지의 안전성 확보를 가장 중요한 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액체 전해질이 갖는 발화성 등의 여러 문제를... |
| 연구내용 |
다양한 고체전해질 중에서도 황화물 고체전해질은 다른 다양한 산화물, 질화물, 고분자 등의 고체전해질에 비해 상온에서 월등히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며 심지어 액체 전해질과도 같은 수준의 이온 전도도를 갖는다. 나아가 황화물 고체전해질은 액체전해질에 비해 고온 및 저온에서도 모두 안정하고 높은 이온전도도를 유지하므로 차세대 전고체전지를 위한 고체전해질로 가장... |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로 발화, 낮은 에너지 밀도 등과 같은 액체 전해질의 한계를 극복함을 통해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가 확보된 전고체전지 full cell을 구현함으로써 전고체 이차전지의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특히 무인항공기와 친환경, 고효율의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 등의 응용을 기대할 수 있어 차세대 에너지 분야의 글로벌 리더... |
| 키워드 |
전고체전지,황화물 고체전해질,Lihtium argyrodite,High-energy milling,계면 특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