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2
2024-05-22
내역사업 | 한-중 과학기술협력센터 |
---|
과제명 | 광 빗 기반 대기 중 광시간/주파수의 초정밀 장거리 전송기술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4911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12-31 ~ 2022-12-30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12-31 ~ 2022-12-30 |
연구목표 | 시간/주파수는 전자기파의 진동에 근거하는 물리량으로, 전자통신뿐 아니라 기초과학, 우주사업 및 정밀산업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초정밀 측정이 요구되는 기본 물리량이다. 현재 시간/주파수는 마이크로파 또는 광주파수 표준에 근거한 원자시계들에 의해 생성되며, 이러한 정밀 시간/주파수의 실용적 사용을 위해 주변으로 정밀도의 손상 없이 전달할 수 있는 체계적 ... |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펨토초 레이저 광빗을 기반으로 대기 중 광링크를 구현하여 자유공간 초정밀 광시간/주파수 전송의 시스템기술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지상 임의의 위치간 광주파수의 전송뿐 아니라, 지상-인공위성간 및 인공위성-인공위성간 초정밀/초고속 전송을 목적으로 전체적 연구내용은 아래의 세 분야로 대별된다; ○ 고안정도 광빗의 개발;KAIST는 광섬유 ... | ||
기대효과 | ○ 고안정 광섬유 기반 펨토초 레이저 광빗 및 마이크로 광공진기를 이용한 광빗 안정화를 통한 광주파수 표준자 구축기술 확보. 이는 광시간/광주파수 전송 뿐 아니라, 광주파수를 이용한 다양한 분광 기술들의 정밀도를 개선하는 주파수의 측정표준의 기술로 확장되어 여러 영역의 기초과학의 발전에 기반기술로 활용 가능함.○ 대기 중 초정밀 시간/주파수 측정, 보상 및... | ||
키워드 | 시간 및 광주파수 전송,펨토초 레이저 광빗,대기 중 광주파수 전송,광시계 원용 위치결정시스템,차세대 단말기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IT(정보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기계 > 측정표준/시험평가기술 > 광응용 측정표준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제조업(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6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