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가. 기업 애로사항 진단 및 처방 20건 o (진단처방) 대표자역량, 기업매출, 핵심기술력 등으로 기업애로사항을 진단하고, 애로진단 유형에 따라 처방선택과 기술주치의 매칭, 현장자문함나. 기술주치의 활용 방안 15건 o (소부장 전공) 소재·부품·장비, 설계, 공정 등을 전공으로 하는 고경력 과학기술인을 확보 및 교육하여 소부장분야 전문 기술주치의로 활용함... | 
                            
                                | 연구내용 | 1) 기업수요 발굴 방안 o (수요발굴) Diva가 발굴한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함2) 기업 진단 및 처방 방법 o 기업 애로사항 진단  - kisti 기술사업화 역량진단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조합 자체 애로사항 진단과 기업 기술주치의 활용신청서 내용을 통한 대표자역량, 매출, 인력, 기술력 등으로 애로사항을 분석 및 진단함 o 기업 애로사항 처방  - 기업... | 
                            
                                | 기대효과 | o 소부장기술자문 모델 정착  - 소재, 부품, 장비분야 중심의 기술주치의 교육 및 자문활동으로 지역기업의 소부장기술을 강화하며, 공적 혹은 객관적 자료로 활동결과를 증빙하는 기술자문 모델의 활용 및 정착될 것임 o 산업현장 애로 해결  - 본 조합 기술주치의 자문활동을 지역기업의 기술기획, 제품개선, 특허등록, 제품인증 등에 집중하여, 소부장기술 경쟁력의... | 
                            
                                | 키워드 | 기술주치의 육성, 애로사항, 진단 및 처방, 협력 네트워크, 일장리 창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