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5
2024-05-22
내역사업 | KSTAR연구 |
---|
과제명 | KSTAR 공동실험 및 플라즈마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0827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08-01-01 ~ 2025-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연구목표 | ○ 1MA 이상의 대전류 플라즈마의 안정운전○ KSTAR 특장점을 활용한 KSTAR의 고유 연구 영역 연구○ 높은 플라즈마 beta에서의 장시간 운전 scenario 확보○ 실험 진단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진단 장치 개선 | ||
---|---|---|---|
연구내용 | ○ 1MA 이상의 대전류 플라즈마 및 high beta 운전 영역 확보 - 1.0MA 대전류 플라즈마 운전시나리오 개발 및 20초 장시간운전 달성 - βN≥3 고성능 플라즈마 정상상태 (3초 이상) 운전 달성 - βP∼3 Advanced Tokamak (AT) 운전모드 진입조건 파악 및 최적화 - H모드 플라즈마 1분 이상 (70초) 장시간 연속운... | ||
기대효과 | ○ KSTAR 특장점을 활용한 핵융합 난제 규명을 통한 핵융합에너지 조기 상용화 기여 | ||
키워드 | H-모드 특성, 고성능 운전기술, 장시간 운전기술, ELM 제어, Disruption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물리학 > 유체·플라즈마물리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유체・플라즈마 물리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12,735,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