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37
2024-05-22
내역사업 | 신임교원정착연구비 |
---|
과제명 | 상황 인지 상호 작용을 위한 다중모달 센싱 및 협력 인터페이스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102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9-16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9-16 ~ 2021-12-31 |
연구목표 | 우선 최근 제안되는 실감형 문화콘텐츠와의 인터랙션을 촉진 시킬 수 있는 감지 및 햅틱 기술의 융합 연구를 진행할 것입니다. 컴퓨터 비전/생체신호/역학 센서 기반 정확한 사용자 의도 파악을 위한 감지 기술과 소프트 햅틱 등과 같은 사실적인 촉각 경험을 통하여 문화콘텐츠의 체험 효과를 향상할 예정입니다. 특히 센싱/햅틱 기술에 고도화된 AI/기계 학습 알고리즘... | ||
---|---|---|---|
연구내용 | 연구 내용: (1) 지능적 감지 기술 및 효과적인 햅틱 기술융합 연구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가상증강현실을 포함한 문화산업의 시각적 경험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사용자와 기기 간의 인터랙션은 물리적 버튼/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및 단순 진동 형태의 햅틱 방식에 머물러 있습니다. 문화콘텐츠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 | ||
기대효과 | 50년 전 GUI와 (SW) 마우스의 (HW) 등장으로 컴퓨터 사용자의 경험이 향상되고 사람들이 쉽고 편리하게 컴퓨터를 활용하게 되면서 영화와 게임 등 다양한 문화예술 발전에 이바지하였습니다. 최근 하드웨어 연산능력 향상 및 인공지능 고도화를 통하여 가상증강현실, 사물인터넷, 로봇 등 다양한 기술들이 게임, 영화, 전시, 공연, 관광 등의 문화산업에 적용될... | ||
키워드 | 웨어러블, 지능형 인터페이스, 햅틱, 인터랙션 기법, 응용 기계학습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CT(문화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정보/통신 > 정보이론 > Human Computer Interface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55,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