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4
2024-05-22
내역사업 | 과기원 공동연구 프로젝트 |
---|
과제명 | KAIST 신종바이러스 대응 연구(2021년도)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1248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09-01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4대 과기원의 바이러스학 및 면역학 연구를 수행중인 연구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 우수 연구 인력과의 개방형 융합연구를 통해 신종바이러스 출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이번 코로나19뿐만 아니라 이후에 출현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불특정 신종바이러스 감염병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면역병리 기전 및 감염제어 기전을 심층적으로 규명하... | ||
---|---|---|---|
연구내용 | 이번에 판데믹 유행을 일으키고 있는 SARS-CoV-2에 의한 COVID-19 유행이 종식되더라도 인류는 반복적인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에 직면해 있음. 이는 지난 20년 동안 출현했던 SARS, MERS, Ebola, Zika 등의 사례를 보더라도 자명한 사실임. 이에 따라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의생명과학 대응책을 효율적으로 마련해야 ... | ||
기대효과 | 본 기획 연구는 코로나19 사태처럼 예기치 않은 판데믹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1) 사이토카인 폭풍 억제 항염증약물 재창출 플랫폼 개발, 2) 유니버셜 베타-코로나바이러스 예방백신 개발, 3) 유니버셜 항바이러스제로서 인터페론-람다 개발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4대 과기원의 바이러스학 및 면역학 연구를 수행중인 연구팀들을 중심으로 타 연구소 및 타 ... | ||
키워드 | 신병종감염병, 백신, 치료제, 코로나19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의생명과학 > 미생물/기생생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385,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