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5
2024-05-22
내역사업 | KC30사업 |
---|
과제명 | 새로운 물리량을 찿아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1459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8-01-01 ~ 2022-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4-01 ~ 2021-12-31 |
연구목표 | 본 과제를 통해 새롭게 정의한 물리량을 니켈 산화물 연구에 적용하며, 이로부터 니켈 산화물에서의 자기적 상호작용과 홀 도핑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니켈 산화물의 과도핑(overdoped) 영역을 탐구한다. 최종적으로는 새로운 직관을 담아내고 이를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물리량을 정의한다. | ||
---|---|---|---|
연구내용 | 니켈 산화물의 물성에 대해 DFT+DMFT 방법론을 이용하여 탐구하고, 여기에 하이젠베르크 상수 계산 코드인 'Jx'를 결합하여 자기적 상호작용과 홀 도핑의 상관관계를 밝혀낸다. 니켈 산화물의 홀이 과도핑된 영역에서 보이는 특이한 도체 상태에 대해 유효 축퇴수 개념을 도입하여 그 원리를 규명한다. | ||
기대효과 | 1. 니켈 산화물 초전도체의 물성 이해 2. 새로운 하이젠베르크 상수 계산 코드의 확보 3. 유효 축퇴수라는 새로운 물리량의 개선 | ||
키워드 | 새로운 물리량, 니켈 산화물, 유효 축퇴, 하이젠베르크 상수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물리학 > 응집물질물리 > 응집물질 계산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4,042,274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