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6
2024-05-22
내역사업 | KAIST Advanced Institute for Science-X (KAIX) |
---|
과제명 | 기능학적 뇌지도 구축을 통한 자폐증 모델 동물에서의 다중감각통합회로망 내 결함 규명(2021년도)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1668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10-01 ~ 2021-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10-01 ~ 2021-12-31 |
연구목표 | 기능적 연구를 통한 자폐증 모델 생쥐에서의 다중감각처리능력 및 회로망 내 결함 확인 (∘정상과 자폐증 모델 생쥐의 뇌 전체에서 단일 또는 다중감각정보의 흐름 확인, 비교 및 정보처리능력 규명 ∘영역들간의 기능적 연결성 확인을 통한 다중감각통합회로망 내 기능학적 뇌 지도 규명) | ||
---|---|---|---|
연구내용 | 기능적 연구를 통한 영역간 연결성 강도 확인 ∘ 뇌 전체 이미징기법을 통해 시각 또는 청각 정보에 대해 어떠한 뇌 영역이 활성을 보이는지 측정하고, 그 정보의 흐름을 시간에 따라 정량화한다. 각 영역에서 시각, 청각, 시∙청각 자극에 대한 활성 정도 (반응강도)를 측정하고 정상 생쥐와 자폐증 모델 생쥐간의 차이를 확인한다. 단일 감각에 대한 활성 ... | ||
기대효과 | 다중감각통합이나 단일감각자극을 처리하는데 어떤 회로망이 관여되어 있는지를 두뇌 피질 전체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는 감각정보가 처리되는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고, 더 나아가 어느 영역에서 어느 정도의 효율로 감각통합과정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다중감각통합회로망을 전반적으로 밝힐 수 있다. 다중감각통합은 다양한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알려... | ||
키워드 | 다중감각통합회로망, 해부학적 뇌지도, 기능학적 뇌지도, 자폐증 모델 생쥐, 뇌 전체 활성 이미징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간 과학과 기술 > 뇌과학 > 뇌인지 > 행동신경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6,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