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9
2024-05-22
내역사업 | Post AI(Post 코로나 사태) 사업 |
---|
과제명 | 강인공지능에 의한 IoT 기기 제어 탈취를 막기 위한 Anti-Strong AI 보안 소자의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51679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5-01 ~ 2021-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5-01 ~ 2021-12-31 |
연구목표 | 가까운 미래에는 강인공지능(Strong AI)가 출현하여 모든 IoT 기기에 대한 제어 권한을 탈취할 가능성이 있음. 이에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한 보안 소자의 개발이 필요함.- 모든 IoT 기기에 적용하면서도 상시 작동하기 위해서 이러한 보안 소자는 저전력 작동, 저비용 공정, 유연성이 필요함. | ||
---|---|---|---|
연구내용 | 본 연구진은 이러한 보안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해당 보안 소자의 기본 개념을 정립하였음. 이 보안소자는 시큐리티 소자와 뉴로모픽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유언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다양한 곡면을 가진 표면에 붙일 수 있어야 함. - 본 연구진은 이번 연구 기간 동안 유연 소재에서 이온 기반 뉴로모픽 소자를 개발하는데에 성공하였음. 또한... | ||
기대효과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로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에서 급증하는 장치 간의 개인적인 데이터의 보호를 위한 강력한 보안 기술의 필요성에 비해 관련 분야는 많이 연구가 되지 않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기술은 기존 기술에 비해 더욱 집적화된 구조에서 저전력으로 고속 동작이 가능한 뉴로모픽 시큐리티 소자임. 본 연구의 핵심인... | ||
키워드 | 강인공지능, 보안소자, 유연 소자, 저비용 공정, 뉴로모픽 소자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CT(문화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정보/통신 > 정보이론 > 인공지능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75,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