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1) KMTNet과 1-2m급 지상 관측시설, 수치적 방법을 바탕으로 근지구소행성(Near Earth Asteroids, NEAs), 소행성대 소행성 및 혜성(Main Belt Asteroids=MBAs, –Comets=MBCs), 목성 트로이군(Jupiter Trojans, JTs) 등 태양계소천체(small Solar System bodies)의 물... |
| 연구내용 |
1) 관측자료와 수치계산을 기초로 특이 소행성의 자전과 역학적 특성, 소천체의 궤도, 회전속도 분포, 종족모형, 그 진화에 관해 연구한다.2) 수치계산을 통해 근지구공간의 티끌 궤도모형을 구축, 이를 관측자료와 비교, 검증하고 이 모형을 작은 태양계소천체의 크기와 궤도분포까지 확장, 예측한다. 3) SRO의 관측자료 처리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달 편광지도 작... |
| 기대효과 |
1) 태양계소천체의 물성에 관한 방대하고 균질한 DB를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LSST(Large Synoptic Survey Telescope) 활용, 직접 탐사임무와 같은 미래 연구에 필요한 기술과 연구경험을 갖춘 차세대 인력 양성에 기여한다. 2) 지구 근방에 있는 티끌의 기원과 운동에 관한 모델링을 기초로 태양계에서의 티끌의 기원과 진화역사를 이해... |
| 키워드 |
행성과학, 태양계소천체, 측광, 달 편광, 티끌입자 |